소방안전관리자 2급 6회1차

1. 다음 중 소화기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  •  자동확산소화기
  •  소화약제를 이용한 간이소화용구
  •  에어로졸식 소화용구
  •  투척용 소화용구

2. 다음 중 소화기구의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소화기
  •  간이소화용구
  •  옥내소화전설비
  •  자동확산소화기

3. 다음 중 자동소화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  •  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
  •  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
  •  호스릴자동소화장치
  •  가스자동소화장치

4. 다음 중 물분무등소화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미분무소화설비
  •  옥외소화전설비
  •  포소화설비
  •  분말소화설비

5. 다음 중 물분무등소화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스프링클러설비
  •  할론소화설비
  •  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
  •  이산화탄소소화설비

6. 다음 경보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단독경보형 감지기
  •  비상콘센트설비
  •  시각경보기
  •  자동화재속보설비

7. 다음 중 경보설비에 해당하는 것은?
  •  비상방송설비
  •  제연설비
  •  무선통신보조설비
  •  피난유도선

8. 다음 중 경보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자동화재속보설비
  •  자동화재탐지설비
  •  비상방송설비
  •  무선통신보조설비

9. 다음 중 피난구조설비에서 유도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  •  통로유도등
  •  유도표지
  •  피난구유도표지
  •  피난유도선

10. 다음중 피난기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  •  피난사다리
  •  완강기
  •  구조대
  •  통합감시시설

11. 다음 중 인명구조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방열복
  •  무선통신보조설비
  •  인공소생기
  •  공기호흡기

12. 다음 중 소화활동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•  제연설비
  •  연결송수관설비
  •  상수도소화용수설비
  •  연소방지설비

13.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틀린 것은?
  •  연면적 4,000㎡인 건축물
  •  특수가연물을 지정수량의 800배 저장·취급하는 공장
  •  길이 500m 터널
  •  지하층이 있는 바닥면적 400㎡인 노유자시설

14. 지하층·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몇㎡ 이상인 경우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3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1,500㎡ 이상

15. 지하가 중 터널 길이가 몇 m 이상일 경우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500m
  •  600m
  •  700m
  •  1,000m

16. 다음 중 판매시설, 운수시설 및 창고시설의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로 맞는 것은?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5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1,0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3,0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5,000㎡ 이상

17. 다음 중 의료시설 중 정신의료기관 종합병원, 병원, 또는 노유자시설의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하는 경우로 맞는 것은?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1,5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1,0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600㎡ 이상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500㎡ 이상

18. 랙식 창고로서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m를 초과하고, 그 층의 바닥면적 또는 랙이 설치된 부분의 합계가 몇 ㎡ 이상인 경우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5,000㎡ 이상 모든 층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1,500㎡ 이상 모든 층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600㎡ 이상 모든 층
  •  바닥면적의 합계가 300㎡ 이상 모든 층

19. 터널을 제외한 지하가의 연면적이 몇 ㎡ 이상인 경우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3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1,500㎡ 이상

20.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대상으로 옳지 않는 것은?
  •  문화 및 집회시설로 수용인원 100명 이상 - 모든 층
  •  층수가 5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살물 - 모든 층
  •  노유자시설로 바닥면적의 합계 600㎡ 이상 - 모든 층
  •  지하가(터널 제외) - 연면적 1,000㎡ 이상

21. 다음 중 근린생활시설로서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1,500㎡ 이상
  •  3,000㎡ 이상
  •  5,000㎡ 이상

22. 다음 중 교육연구시설 내에 합숙소로 연면적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100㎡ 이상
  •  3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
23.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몇 ㎡ 미만인 경우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100㎡ 미만
  •  300㎡ 미만
  •  500㎡ 미만
  •  600㎡ 미만

24. 주차용 건축물의 연면적이 몇 ㎡ 이상인 경우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2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8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
25.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차고 주차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몇 ㎡ 이상인 경우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 (50세대 이상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임)
  •  2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8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
26. 다음 중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은?
  •  15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
  •  20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
  •  25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
  •  30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

27. 축전지실·통신기기실·전산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바닥면적이 몇 ㎡ 이상인 경우 물분등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200㎡ 이상
  •  300㎡ 이상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800㎡ 이상

28. 목욕탕을 제외한 근린생활시설, 위락시설, 장례시설의 연면적이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300㎡ 이상
  •  6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2,000㎡ 이상

29.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, 문화 및 집회시설,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이 연면적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자동화자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500㎡ 이상
  •  800㎡ 이상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2,000㎡ 이상

30. 교육연구시설 또는 수련시설로 연면적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1,500㎡ 이상
  •  2,000㎡ 이상
  •  2,500㎡ 이상

31.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?
  •  노유자 생활시설 - 모든 층
  •  터널 - 500m 이상
  •  장례시설 - 연면적 600㎡ 이상
  •  판매시설 - 연면적 1,000㎡ 이상

32.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기준 중 적용기준이 다른 하나는?
  •  노유자 생활시설
  •  지하가 중 터널
  •  요양병원(정신병원, 의료재활시설 제외)
  •  지하구

33.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5층 이상으로 연면적 몇 ㎡ 이상인 경우 모든 층에 비상조명을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1,000㎡ 이상
  •  2,000㎡ 이상
  •  3,000㎡ 이상
  •  4,000㎡ 이상

34.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 몇 m 이상인 경우 비상조명들을 설치해야 하는가?
  •  500m 이상
  •  1,000m 이상
  •  1,500m 이상
  •  2,000m 이상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채점하기
hide
reset
타이머

모든 문제들의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. 본 사이트는 웹상에 공개되어 있는 문제만 모아서 보여드립니다.
저작권 안내   데이터 보호 안내   제휴 문의

copyright 2025 뉴비티::새로운 CBT 시스템 - newbt.kr